경제/세계 경제 이슈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25% 추가 관세 발표! 중국의 보복 관세로 무역 갈등 격화

소랔키 2025. 2. 10. 17:26
300x25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BIG
반응형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25% 추가 관세 발표! 중국의 보복 관세로 무역 갈등 격화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전쟁이 다시 불붙었습니다. 2025년 2월 10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모든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중국은 미국산 석탄, 액화천연가스(LNG), 원유, 농기계, 자동차 등에 10~15%의 보복 관세를 매기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번 발표로 인해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파장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의 추가 관세, 왜?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가 미국 내 제조업을 보호하고,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습니다. 사실, 트럼프는 과거에도 무역확장법 232조를 활용해 2018년 철강에 25%, 알루미늄에 10%의 관세를 부과한 바 있습니다.

이번 조치는 이러한 보호무역 정책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특히 다음 국가들이 주요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 캐나다: 미국의 주요 철강 수출국 중 하나로, 이번 조치로 인해 산업 타격이 예상됨.
  • 멕시코: 자동차 산업이 철강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비용 증가 가능성 있음.
  • 유럽연합(EU): 미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철강 업체들이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큼.

중국의 즉각적인 대응

트럼프의 발표 직후, 중국 정부는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를 공식적으로 발표했습니다. 중국의 보복 조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석탄, LNG, 원유: 15% 관세 부과
  • 농기계, 자동차(대형차, 픽업트럭 포함): 10% 관세 부과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미국의 일방적인 무역 조치에 단호히 대응할 것이며, 추가적인 대응책도 고려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관세 조치가 미·중 간의 무역 갈등을 더욱 심화시킬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도 이번 무역 분쟁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특히 철강 산업은 미국 수출 의존도가 높아, 추가 관세가 부과되면 한국 철강업체들의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중국의 보복 관세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이 흔들릴 가능성이 커지면서 국내 산업 전반에 미칠 영향도 상당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 기업들은 이러한 변화에 대비해 수출 다변화 전략을 마련하고, 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정부 차원에서도 적극적인 외교적 대응을 통해 한국 기업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앞으로의 전망

이번 미·중 무역 분쟁은 단기간에 해결될 가능성이 낮아 보입니다. 트럼프가 재집권하면서 보호무역 기조를 다시 강화해 국제 무역 환경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각국의 기업들은 변화하는 무역 정책에 대한 대응 전략을 고민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각국 정부와 기업들은 불안정한 무역 환경 속에서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을 적극적으로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향후 미국과 중국의 추가 조치가 어떻게 전개될지에 따라 글로벌 경제 흐름도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여러분은 이번 미·중 무역 분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반응형